본문 바로가기
HealthyInform

인생 최고 투자는 건강관리... 20~60대 이상 연령별 주의사항 정보

by ∑⊙ 2021. 1. 5.

건강관리는 연령별, 가족력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20대는 학교나 직장생활 등 사회생활을 시작하면 식사가 불규칙해지고 음주량이나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위장이나 간 등의 검사와 간염 항체 보유 여부를 확인하면 좋습니다.

 

 

 

 

30~40대는 과다 업무와 적은 운동량에 잦은 음주와 육류 섭취로 인해 각종 성인병에 노출되기 쉬운데 실제로 30대 남성의 흡연율은 52.8%, 비만율은 41.1%로 가장 높습니다. 이에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다면 식이요법과 운동법을 통한 관리를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노화가 시작되는 40대는 심혈관계 질환과 암에 대한 정밀검사도 중요하며 위내시경은 1년마다,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최소 2년 간격으로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가족 중 암 병력이 있다면 암 검진은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특히 유방암 발병률이 높은 40대 여성은 매월 실시하는 자가 검진 시 이상 징후가 있으면 유방 초음파 검사를 추가로 받아봐야 하며, 자궁경부암 검사도 함께 받는 것이 좋습니다.

50~60대는 흡연자이거나 과체중일 경우 혈관질환이 생길 위험이 높아 장기 위주의 심장이나 뇌, 호흡기 특화 검사를 실시하면 좋은데 만 50세를 기점으로 대장암으로 변형되기 쉬운 용종 발생이 늘어나기 때문에 최소 5년에 한번씩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목   차

 

1. 30대 이하 = 식·생활습관 바꿔 고혈압·당뇨 예방해야

2. 40~50대 = 돌연사 막으려면 뇌 MRI·심장 CT 찍어봐야

3. 60대이상 = 8명 중 1명꼴로 암환자, 암 검진 중요

4. 글을 맺으며

 


1. 30대 이하 = 식·생활습관 바꿔 고혈압·당뇨 예방해야

 

 

 

 

 

건강의 지름길은 식·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30대의 나쁜 생활습관은 과도한 업무, 잦은 술자리, 스트레스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생활습관을 반복하고, 건강검진에 나타난 전조증세를 무시하면 만성질환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미 비만은 30대 남성 2명 중 1명(45.4%)이 해당될 정도로 위험 수준에 도달했고, 대한고혈압학회가 최근 9,95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30대 고혈압 유병율은 18%을 차지했습니다. 만성질환의 가장 큰 문제는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특히 비만, 고혈압, 당뇨는 발병 초기는 별다른 증상이 없고, 불편함을 못 느껴 방치하기 쉬워 40~50대에 각종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30대부터 올바른 생활습관과 식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더불어 30대의 고혈압 치료율은 6%에 그칠 정도로 저조한 만큼, 질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치료 의지를 가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H+양지병원 가정의학과 임지선 과장은 "30대는 바쁜 일정으로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어렵지만 한번 무너진 건강은 되찾기 힘든 만큼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하며 평소에도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를 꾸준히 추적,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80∼119mmHg일 때 정상인데 수축기혈압이 120∼13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80∼89mmHg이면 고혈압 전 단계,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봅니다. 혈당은 공복혈당이 60~99㎎/㎗이면 정상, 100~125㎎/㎗이면 당뇨병 전 단계, 12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흡연도 동맥경화의 3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므로 금연이 중요합니다. B형 간염 항체가 없는 사람은 모두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2. 40~50대 = 돌연사 막으려면 뇌 MRI·심장 CT 찍어봐야

 

 

 

 

 

한창 일하며 가족을 부양해야할 40~50대는 각종 질환에 노출되는 시기이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돌연사의 사각지대'에 있습니다. 건강검진을 받아도 주로 '암'에만 신경을 쓰고 뇌와 심장검사는 별로 주목하지 않습니다. 길이가 약 10만 km에 달하는 혈관은 나이가 들면 딱딱해져 가늘어지거나 막히게 된다. 동맥경화가 진행된다는 얘기입니다. 뇌나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막혀 공급되는 혈액이 부족해지면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이 발생해 목숨을 잃게 됩니다. 심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은 2019년 6만 252명(소방청 집계)에 달했습니다.

최동훈 용인세브란스병원장(심장내과)은 "돌연사는 뇌와 심장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암보다 더 무섭다. 40~50대는 최소한 한번 이상은 뇌 MRI(자기 공명 영상)와 심장 CT를 반드시 찍어보고 예방을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습니다. 최동훈 병원장은 "암은 발병해도 충분히 치료할 수 있고 최악의 경우 몇 개월 동안 살 수 있지만 뇌출혈과 심장마비는 말 한마디 못하고 급사할 수 있다"라고 설명합니다.

뇌신경세포는 1000억 개에 달합니다. 컴퓨터보다 훨씬 복잡한 뇌는 30대가 넘어서면서 노화로 각종 질환에 노출되며 특히 뇌혈관 질환은 60세 이상 3명 중 1명의 목숨을 앗아갈 만큼 무섭습니다. 대표적인 뇌질환으로 뇌졸중과 같은 혈관질환, 알츠하이머(치매), 뇌종양(암), 파킨슨병, 불면증, 우울증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50대에는 한번 정밀 검사를 통해 뇌 건강상태를 확인해놔야 합니다. 심장은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지만 1분에 약 5ℓ의 피를 순환시킵니다. 펌프나 자동차 엔진에 비유되는 심장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쉬지 않고 피를 몸의 구석구석까지 보냅니다.

심장은 100년이상 써도 끄떡없을 정도로 튼튼해 심장돌연사는 심장 자체보다 심장 주변의 혈관이 좁아진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때문에 발생합니다. 좁아진 심장혈관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치료, 관상동맥우회술,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중 하나 또는 병행하여 이뤄집니다. 심장은 전조증상을 통해 위험신호를 보냅니다. 가슴통증이 오다가 20분 이내에 회복되는 양상이 몇 차례 반복되거나 압박감, 목이나 인후, 턱과 왼쪽 어깨, 팔 쪽 피부에서 타들어가는 통증이나 열기를 경험했다면 협심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반해 흉통이 20분 이상 계속 지속되고 통증 정도가 훨씬 심하면 심근경색 증상입니다. 심근경색은 일단 발생하면 약 40%가 손 한번 못쓰고 갑작스러운 죽음에 이르기 때문에 무조건 종합병원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3. 60대이상 = 8명 중 1명꼴로 암환자, 암 검진 중요

 

 

 

 

 

지난해 12월 발표된 2018년 신규 암환자는 24만 3837명으로 매년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암은 나이가 들면 발병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65~74세가 50~60세보다 암 발병 가능성이 2~3배 더 높고 암은 60~70세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며 80세 이상에서는 혈관질환에 이어 두 번째 원인입니다.

65세 이상 암유병자는 약 90만 명으로 8명당 1명꼴(전체 인구 739만 명)이며 남자는 6명당 1명, 여자는 10명당 1명이 암유병자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7.4%였으며 남자(80세)는 5명 중 2명(39.8%), 여자(86세)는 3명 중 1명(34.2%)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암은 막을 수 없기에 조기 발견·치료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암은 환경적 요인이나 유전적인 문제 등 다양한 이유로 발병합니다. 식생활의 서구화, 운동량 감소, 스트레스, 약물남용 등과 같은 식생활이 암의 발생빈도를 더욱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암세포는 7~8년 지나야 임상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0.5cm 정도의 덩어리로 나타나는데 암의 직경 크기가 0.5cm보다 작으면 CT나 MRI가 암을 못 찾고 정상상태로 진단하기도 합니다. 서너 달 뒤에 다시 검사를 실시하면 암으로 판명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금기창 연세암병원장은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암 검진이어서 너무 의존해선 안되며 반드시 정기적이고 반 복적인 암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나이가 들면 치매·파킨스병 등 뇌질환도 피할 수 없으며 이와 함께 질환에 의한 통증, 외로움, 불면증, 가난 등으로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치매환자는 2009년 18만 8000명에서 2019년 79만 9000명에 이어 2025년 약 100만 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됩니다. 치매는 일본의 경우 65~69세는 2.2%, 70~74세는 4.9%, 75~79세는 10.9%, 80~84세는 24.4%, 85세 이상은 55.5%로 치솟습니다.

 

우리나라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치매는 발병해서 말기까지 진행되는 데 보통 8~10년 걸리며 치매는 크게 알츠하이머(퇴행성 치매), 혈관성 치매, 기타 치매로 나뉩니다.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은 어떤 APOE 유전자를 가졌느냐에 따라 발병  위험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유전적 위험 요소 가운데 '나 이듬(aging)' 즉, 노화 이외에 가장 강력한 것이 APOE 유전자 형입니다. APOE 4 유전자를 하나 가진 경우에는 4~6배, 두 개를 가진 경우에는 10~12배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한설희 건국대병원 신경과 교수(전 의료원장)는 "콜레스테롤 대사와 운반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아포E 지단백 (apolipoprotein E, APOE)의 유전자는 19번 염색체에 존재하는데 모든 사람은 E2, E3, E4 대립 유전자 가운데 두 가지를 가지고 태어난다"면서 "즉, 유전형이 APOE 2/2, APOE 2/3, APOE 2/4, APOE 3/3, APOE 3/4, APOE 4/4 등 6가지 가운데 하나에 속하게 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치매를 예방하려면 규칙적인 운동, 독서 등을 통해 뇌를 적극 사용하고 음주, 흡연 등을 멀리해야 하고, 조기발견을 위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합니다.

 

 

4. 글을 맺으며

 

 

 

 

 

건강은 한번 잃고 나면 다시 회복하기가 정말 힘이 듭니다. 저도 작년까지 가족과 함께 있으면서 퇴근 후 저녁에는 운동도 하고 했었는데 올해 직장의 지역이 바뀌면서 기숙사 생활을 하게 되니 운동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사라져 버렸습니다.

 

하지만 나와 내 가족을 위해서 간단하게라도 할 수 있는 운동들을 찾아보고 실천하려고 합니다.

 

우리 모두 건강을 찾고 즐겁게 하루하루를 생활합시다.